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신청기간 신청방법 금리

by sosohanJ 2024. 5. 23.
반응형

 

청년들의 재정적 독립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청년도약계좌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개념부터 혜택, 신청 방법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여러분의 미래를 한층 더 밝고 희망차게 만들어보세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지원 제도입니다.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들이 일정 기간 동안 저축을 하면, 국가에서도 일정 비율로 매칭하여 저축액을 늘려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해 재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및 조건

이번에는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19세~34세 이하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6년 추가 인정)

- (개인소득요건) 최근 과세기간의 금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포함) 및 군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 (금융소득요건)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 :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사람

- (가구소득요건)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기존 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2024년 중위소득 250%
5,571,113
9,206,523 11,786,643 14,324,783 16,739,338 19,045,923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 수준과 본인이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매월 40만원 ~ 70만원을 내면 3~6%(21,000원~24,000원)의 정부기여금을 제공하며,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기여금은 늘어납니다.

 

총 급여에 따라서는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는 납입액 40만 원까지 기여금 6.0%(월 24,000원) 총 급여 2,400만~3,600만 원 이하 : 납입액 50만 원까지 기여금 4.6%(월 23,000원) 총 급여 3,600만~4,800만 원 이하 : 납입액 60만 원까지 기여금 3.7%(월 22,000원) 총 급여 4,800만~6,000만 원 이하 : 납입액 70만 원까지 기여금 3.0%(월 21,000원)을 지원합니다.

개인소득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월 기여금 한도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4,8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

[예시] 직전년도 총 급여가 4,000만 원인 청년 가입자인 경우

- 매월 40만 원 납부 시 : 매칭비율 3.7% 적용 → 정부기여금 매달 약 14,800원 적립

- 매월 70만 원 납부 시 : 60만 원 한도까지 적립금 매칭비율 3.7% 적용 → 정부기여금 매달 22,000원 적립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5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놓치신 분들은 6월 신청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현재까지 공문을 살펴보면 6월 신청기간은 아직 배포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매월 중순이 되면 다음달 신청 기간이 나오기 때문이죠.

하지만 매월 비슷한 신청 형태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한번 예상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일단 5월 신청 기간을 살펴보면 5월 2일에서 10일까지 신청을 받았습니다. 6월에도 비슷한 시기인 3일부터 14일에 신청을 받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가입자의 소득과 가입 은행, 우대금리 여부에 따라 다르나 기본적으로 시중은행 가입으로 기본금리가 4.5%이고,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고 월 70만원씩 납부하며, 출시 당시 기본 금리가 만기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급여 기준
납입액
정부기여금
납입금액 이자
기여금 이자
총 수령액
혜택 금액
일반 적금 비교
2,400만원 이하
4,200만원
144만원
640만원
16만원
5,000만원
800만원
8.86%
3,600만원 이하
138만원
587만원
15만원
4,938만원
738만원
8.19%
4,800만원 이하
132만원
14만원
4,931만원
731만원
8.12%
6,000만원 이하
126만원
13만원
4,924만원
724만원
8.05%
7,500만원 이하
-
-
4,787만원
587만원
6.50%
전체적으로 총소득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이 가장 큰 혜택을 보지만, 2,400만원 이상 6,000만원 이하 청년들도 이에 못지않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 구간이 낮을 수록 월 기여금을 최대한으로 받기 위해 납입해야할 금액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금 유지에 대한 부담감이 덜한 편이다. 다만 7,500만원 이하 구간은 기여금이 없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만 받아 시중은행에서 6.50% 적금에 가입한 것과 비슷한 효과이다. 현재 적금 금리가 꽤 올랐다고는 하지만 많은 시장의 적금 상품들이 우대금리 세부사항이 덕지덕지 붙어있어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만큼, 단순 적금 상품을 대체할 용도로는 썩 훌륭한 편이다. 다만, 가입 기간이 너무 길어 중도해지시 정부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총급여 기준
월 납입액
총 납입액
총 정부기여금
납입금액 이자
기여금 이자
총 수령액
혜택 금액
일반 적금 비교
2,400만원 이하
40만원
2,400만원
144만원
366만원
15만원
2,925만원
525만원
10.19%
3,600만원 이하
50만원
3,000만원
138만원
419만원
15만원
3,572만원
572만원
8.87%
4,800만원 이하
60만원
3,600만원
132만원
503만원
14만원
4,249만원
649만원
8.39%
정부의 월 기여금 지급한도까지 딱 맞춰서 납입하는 게 가장 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납부 가능 금액이 넉넉하다면 월 70만원 가득 채워 납부하는 것도 좋지만, 그렇지 않거나 아니면 다른 상품에 투자할 돈이 필요한 경우, 혹은 최소 금액으로 최대 효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월 납입액에 맞춰 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세제 혜택이 없는 일반 적금으로 비교할 경우 최대 10.19%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반응형